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식후 혈당 정상수치 유지
    건강한생활 2019. 11. 15. 15:32
    반응형

    공복이 아닌 식후 혈당 정상수치를 알고 계시나요. 공복 혈당 측정은 당뇨병의 기본적인 검사이지만 그것만으로는 파악할 수없는 당뇨병 유형도 있어서 식후 혈당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는데요. 공복에는 정상수치지만 식후 혈당이 높은 당뇨 예비군 환자도 있기 때문이에요. 당뇨병 예방을 위해서는 공복은 물론 식사 후 수치에도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식후 혈당 정상수치는 얼마인가요. 식사를 하면 누구나 수치가 상승하지만 인슐린이 정상 작동하면서 곧 정상수치인 110mg/dl 미만으로 돌아가요. 하지만 인슐린 분비에 문제가 생길 경우 식사 후 수치가 급상승하고 그 상태가 오래 지속이 됩니다. 식후 2시간이 경과했을 때 140mg/dl 이상이라면 식후 고혈당으로 방치할 경우 당뇨병이 되기 쉽습니다.

     

     

    공복이 아닌 식후 혈당이 높은 것이 왜 문제가 되나요. 공복 수치만으로 당뇨병을 판단하면 식후 고혈당을 놓쳐 자신도 모르는 사이 당뇨병이 발병하고 진행될 수 있어요. 또한 식후 고혈당이 활성산소의 발생을 촉진하여 혈관에 산화스트레를 주면 동맥경화가 촉진됩니다.

     


    식후 혈당 정상수치를 알고 유지하려고 하는 것은 당뇨병의 예방과 조기 발견, 합병증의 발생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당뇨병으로 진단 내려지는 수치는 공복시 126mg/dl 이상, 식사 2시간 후에 측정하는 수치는 200mg/dl 이상입니다. 건강한 사람은 공복시 110㎎/dL 미만, 식후 2시간 혈당 정상수치 140mg/dl 미만입니다.

     


    자신이 식후 혈당이 높은지 알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혈액검사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으며 건강검사 결과지에서 HbA1c 수치를 보고 알 수 있습니다. HbA1c는 혈액에 적혈구 내 헤모글로빈과 포도당과 결합된 것으로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 수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HbA1c(당화혈색소)의 경우 4.3~5.8%가 지준으로 5.8%를 넘을 경우 주의가 필요하며 6.5%를 넘으면 당뇨병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HbA1c는 식후 혈당과도 관련성이 높아서 만약 이 수치가 증가하면 식후 고혈당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식후 혈당 정상수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이 기본이 되는데요. 과식을 하지 않아야 하며 천천히 꼭꼭 씹어 먹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빨리 먹을 경우 인슐린의 작용이 이를 따라 잡지 못해 식후 혈당이 급상승할 수 있습니다. 젓가락을 만을 사용하면 식사 시간을 늦추는데 도움이 됩니다.

     


    식사를 하는 순서 또한 정상수치 관리에 도움이 되는데요. 혈당을 급격하게 높이는 탄수화물인 밥을 먼저 먹기 보다 채소, 버섯, 해조류 등을 먼저 먹으면 식후 혈당을 낮추는데 도움이 됩니다. 먹는 순서를 바꾸는 것은 당뇨병은 물론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식후 혈당을 정상수치로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는 음식을 알아두세요. 혈관 건강과 내장지방 감소 효과가 있어서 주목받고 있는 보리새싹가루, 레드비트, 인슐린의 분비를 도와주는 돼지감자, GI수치가 낮아서 급격한 수치 상승을 방지하는 콩, 식이섬유가 풍부한 버섯류가 있습니다.

     


    운동을 하는 것도 식후 혈당 정상수치로 낮추는데 도움이 되는데요. 대신 타이밍이 중요합니다. 수치가 오르기 쉬운 식후30분 ~1시간 정도에 가볍게 운동을 하면 혈당 자체를 낮추는데 도움이 됩니다. 식사 후 앉아서 TV를 보거나 뒹굴거리기 보다 15분~30분 정도 산책하는 습관을 만들어보세요.

     


    식후 고혈당은 당뇨병 뿐만 아니라 당뇨병 예비군에서도 중요한 지표의 하나가 되는 만큼 정상수치를 알아두고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주세요. 다시 한번 알아보면 건강한 사람은 공복 110㎎/dL, 식사 후 140mg/dl 미만이며, 당뇨병인 사람은 공복126mg/dl, 식사 후 200mg/dl입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