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숫가루 만들기 재료 비율행복한생활 2023. 5. 26. 12:10반응형
미숫가루는 많은 사람들에게 어릴 때의 추억을 떠올리게 해 줍니다. 미숫가루 만들기도 쉬운데 물, 얼음, 설탕만 있으면 누구나 만들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건강을 위해 미숫가루 재료가 다양해졌으며 우유, 과일 등을 넣어 더 풍부한 맛을 즐긴다고 합니다. 미숫가루 재료로 어떤 것이 필요하고 맛있게 먹는 비율은 얼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미숫가루란
한국의 전통 음료 중 하나로 다양한 곡물을 볶아서 갈아서 만들었기 때문에 맛이 고소합니다. 게다가 10곡 17곡 등이 들어가서 영양가가 높고 건강에도 좋습니다.
저도 어렸을 때는 물론 지금도 여름이 되면 미숫가루를 즐겨 먹는데, 할머니께서 직접 만들어주신 미숫가루가 가장 맛있었습니다. 할머니만의 미숫가루 재료 비율이 있는 것 같습니다.편하게 미숫가루를 구입해서 먹어도 되지만 직접 곡물을 볶아서 가루내어 만들어 드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미숫가루가 아닌 나만의 미숫가루를 만들어 먹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숫가루 재료 소개
미숫가루 만들기에서 중요한 것은 재료 입니다. 대두, 보리, 쌀, 옥수수, 대두, 현미, 찹쌀, 검정콩, 수수, 율무, 차조, 흑미 등 다양한 재료가 들어갑니다. 기본 10곡 이상은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최근에는 귀리, 퀴노아, 호두, 아몬드, 렌틸콩, 아마씨, 치아씨드 등을 넣어 자신만의 미숫가루를 만들어 드시는 분들도 늘고 있습니다. 직접 미숫가루를 만들어 드시고 싶다면 아래 방법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집에서 미숫가루 만들기
1. 다양한 곡물을 준비합니다.
2. 곡물을 깨끗하게 세척합니다.
3. 종류에 따라 불리거나 찝니다.
4. 약한불에 볶습니다.
5. 고소한 향이 나면 불을 끄고 식힙니다.
6. 믹서기에 넣고 곱게 갈아줍니다.
직접 만들면 재료의 비율을 자신의 취향에 따라 조절할 수 있고 시중에서 판매되는 미숫가루에 없는 특별한 재료를 섞어서 만들 수 있습니다. 탈모가 걱정이라면 검정콩이나 흑미의 비율을 늘리고, 다이어트 중이라면 쌀이나 찹쌀 대신 귀리의 비율을 늘리면 좋습니다.미숫가루 효능
보통 10곡 이상의 재료가 들어가기 때문에 미숫가루를 먹는 것으로 건강에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에너지 보충 : 곡물에 들어 있는 탄수화물, 단백질, 미네랄 등이 에너지를 보충할 수 있게 해 줍니다. 따로 식사를 할 시간이 없다면 미숫가루를 챙기고 활력을 유지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포만감 유지 : 곡물에는 식이섬유도 풍부하며 이는 포만감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식사 대용은 물론 식사와 식사 중간에 간식으로 먹으면 과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모발건강 유지 : 미숫가루 재료 중 검은콩, 흑미 등은 머리카락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머리카락을 구성하는 단백질이 들어 있고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안토시아닌도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꾸준히 챙겨드시면 머리카락 건강에 도움 받을 수 있습니다.미숫가루 맛있게 만들기 비율
할머니가 또는 어머니가 타주신 미숫가루는 달달하고 맛있는데 왜 내가 타면 맛이 덜한 걸까요. 이는 비율에 있었습니다. 할머니가 타주시던 미숫가루 비율은 1 : 0.5 정도입니다. 설탕이 적으면 싱거워서 맛이 없습니다. 또한 얼음을 넣으면 녹으면서 싱거워지기 때문에 재료를 아끼지 않고 듬뿍 넣어야 합니다.
식사 대용 미숫가루 타기
아침 식사로 한 잔 마시고 싶다면 우유나 두유에 섞어 미숫가루 라떼로 드시면 좋습니다. 고소한 맛과 고소한 맛이 만나서 배로 맛있어집니다. 아이들은 바로 엄지척을 합니다.
미숫가루 설탕을 넣는 것이 걱정된다면 꿀, 스테비아, 알룰로오스, 프락토올리고당 등을 넣어 만들어도 좋습니다. 저는 프락토올리고당을 넣는데 장 운동이 원활해지면서 화장실 가는게 편해집니다. 나는 그냥 맛있게 먹고 싶다면 연유를 넣습니다.- 미숫가루1 : 우유2 : 연유1 (꿀, 설탕 기호에 따라)
미숫가루는 추억과 감성을 자극해주는 특별한 음식이면서 영양이 풍부한 건강한 음식이기도 합니다. 올여름도 미숫가루와 함께 시원하고 행복한 하루를 보낼 수 있었으면 합니다.
반응형'행복한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무슨해 청룡띠 해 운세 (0) 2023.06.02 혼나는 꿈 해몽 인물별 해석 (0) 2023.05.31 참외 보관법 오래 신선하게 먹는법 (0) 2023.05.17 장례식 위로문자 위로말 어떻게 쓸까 (0) 2023.05.09 인천이음카드 캐시백 5월 상향조정 얼마 (0) 2023.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