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변 거품 원인 해소건강한생활 2020. 8. 31. 12:16반응형
소변 거품 원인은 질병의 징후인가요 날씨가 춥거나 물을 많이 마시면 화장실 가는 횟수가 증가하며 이는 흔한 증상이라서 크게 신경 쓰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소변 거품은 자주 나타나는 증상이 아닌 데다 당뇨병 증상이라는 이야기도 있어서 걱정이 됩니다. 거품 원인이 정말 질병 때문은 아닐까 걱정된다면 원인 질환을 알아두고 정확하게 진찰받아 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
소변에 왜 거품이 나오는 건가요 어떤 질병의 징후인가요 결론부터 말하면 소변 거품 원인이 질병인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소변에 든 우로빌리노겐이라는 물질로 인해 거품이 생길 수 있으며 보통 아침에 일어났을 때, 운동 후에 증상이 나타나기 쉽습니다.잠시 변기 안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소변 거품의 경우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화장실에 갈 때마다 소변 거품이 보일 경우에는 단백질이나 당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신장 기능저하나 당뇨병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소변 거품 원인으로는 더운 여름 땀을 많이 흘리는 것, 과도한 운동, 수분 섭취 부족 등이 있습니다. 이는 소변 농도를 짙게 만들어 소변 거품이 눈에 띄게 됩니다. 이 경우 수분 섭취량을 늘리면 증상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수분섭취를 늘려도 변화가 없다면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육류를 과다 섭취하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단백질을 과다 섭취하면 신장에 무리를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단백질이 소변으로 나와 거품이 발생합니다. 평소 육류를 즐겨 먹는 분들이라면 식습관을 주의해주세요.
소변 거품이 사라지지 않고 오래 남아있다면 신장의 기능 저하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신장에서 여과되어야 하는 단백질이 여과되지 못하고 소변으로 배출되고 있는 것입니다. 신장 기능이 정상이어도 혈액질환으로 인해 혈액 내 단백질이 과하게 포함되어 있으면 소변 거품이 보입니다.
소변 거품 원인 질환인 신증후군이란 어떤 질환인가요. 신장의 사구체에 이상이 생겨서 소변에 단백질이 많이 포함되어 나오는 질환으로 다양한 증상을 유발합니다. 초기에는 거의 증상이 없지만 진행이 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소변 거품(단백뇨)이 나옵니다. 건강한 사람의 소변에도 거품이 생기지만 곧 사라지며 이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는다면 단백뇨가 나오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단백뇨는 신증후군의 증상 중 하나입니다.
신증후군의 증상으로 부종도 있습니다.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수분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고 남아서 부종을 일으킵니다. 부은 곳을 눌렀을 때 자국이 오래 남으며 눈꺼풀과 다리에 심한 부종이 나타납니다.
체중이 증가하게 됩니다. 신증후군으로 인해 소변으로 단백질이 배출되고 몸 속 알부민이 부족해지면 혈관 속 수분이 간질이라는 위치로 이동을 합니다. 여기에 쌓인 수분은 좀처럼 몸밖으로 나가지 않기 때문에 체중 증가로 이어집니다.
거품 소변 원인 질환인 신증후군의 증상으로 권태감이 있습니다. 신증후군이 발생하면 많은 단백질이 소변으로 손실이 되는데 단백질 중에서도 알부민이라는 것이 손실되면 혈관 속 수분이 줄어 탈수 상태가 됩니다. 탈수는 피로를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신증후군으로 인해 신장의 기능이 저하가 되면 노폐물이 몸 안에 축적되어 피로감을 쉽게 느낄 수 있습니다. 신장 기능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는 단백질을 과다 섭취하지 않고 음식을 짜게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소변 거품 생기는 원인으로 당뇨병을 생각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당이 소변으로 나오면서 끈기가 생기고 거품이 오래 간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보다는 갈증 현상으로 인해 물을 많이 마시게 되고 소변 횟수가 증가하게 됩니다.
소변 거품 외에 주의해야 하는 것도 알아두세요. 건강한 사람의 경우 무색에서 연한 노란색이지만 짙은 황색이거나 적색, 짙은 갈색일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간질환이나 요로계통 질환, 신장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소변 거품 원인이 질환 때문만은 아니에요. 고열이 나거나 심한 운동 후에 일시적으로 거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컨디션이 좋은 상태인데도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질환의 신호일 수 있으니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도록 검진받아 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반응형'건강한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BUN 수치 높을 경우 (0) 2020.09.03 호호바오일의 효능 모음 (0) 2020.09.02 아르간 오일 먹는법 (0) 2020.08.29 기초대사량 늘리는 방법 10가지 (0) 2020.08.28 간에 좋은 차 효과 (0) 2020.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