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눈에 이물질이 낀것 같은 증상건강한생활 2021. 2. 1. 11:39반응형
눈에 이물질이 낀것 같은 증상은 누구나 한번쯤은 경험하게 됩니다. 눈에 먼지가 들어간 것일 수도 있지만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은데 뭔가 이물질이 있는 듯한 느낌이 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눈에 이물질이 낀것도 아닌데 까끌한 느낌이 나는 것은 왜일까요. 질병이 원인일 수도 있고 잘못된 습관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눈에 이물질이 낀것 같은 증상의 원인으로 안구 건조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눈을 보호하는 눈물의 분비가 줄어들거나 눈물이 증발해 건조해지면 까끌한 이물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건조해지는 이유가 있나요. 평소 눈을 혹사하거나 건조한 실내에 오래 있을 경우, 컴퓨터, 운전 등으로 눈깜박임 횟수가 감소할 경우에 건조해지기 쉽습니다. 강한 스트레스도 자율신경의 기능을 저하시켜 눈물의 분비를 억제하기 때문에 눈에 건조함과 이물질인 낀 느낌이 듭니다.
콘택트 렌즈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해 눈에 이물질이 낀것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콘택트 렌즈는 수분을 빼앗아 눈을 건조하게 만드는 것은 물론 제대로 세척하지 않거나 거칠게 사용하는 것으로 각막 표면을 손상시켜 이물감이나 통증을 유발합니다.
실제로 눈에 이물질이 들어가서 뭔가 낀것 같은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빠진 속눈썹이 들어가거나 먼지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속눈썹이 안쪽으로 자라는 경우 이물감이 자주 느껴지며 시야에도 지장이 생겨서 수술적인 치료로 해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눈에 이물질이 들어간 것 같은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으로는 안구건조증이 있습니다. 눈을 혹사하거나 건조한 실내에 오래있는 것으로 눈의 표면의 눈물이 증발하거나 분비량이 줄어들면 까끌거리는 이물감, 피로감, 가려움증, 충혈 등이 나타납니다.
세균성 결막염으로 눈에 이물질이 낀것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세균성 결막염의 증상으로는 이물감 외에 충혈, 누런 눈곱, 가려움, 눈물 등이 있으며 항생제로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전염성은 강하지 않아도 면역력이 약하면 만성화 될 수 있어서 주의해야 합니다.
뭔가 낀것 같은 증상이 바이러스성 결막염 때문은 아닐까요. 여름철 수영장에서 전염되는 경우가 많은 질환으로 눈이 빨갛게 충혈되며 가려움과 이물질이 낀것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2주 정도면 나아지지만 전염성이 있어서 조심해야 합니다.
눈꺼풀의 가장자리와 안쪽에 있는 피지선에 세균이 감염되어 발생하는 다래끼로 인에 눈에 이물질이 들어간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다래끼일 경우 눈에 뭔가 낀것 같은 증상 외에 빨갛게 부어 가렵거나 염증으로 인해 통증이 느껴집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으로 눈에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이물질이 결막에 들어가면 이물질이 낀것 같고 가렵고, 충혈이 됩니다. 꽃가루나 집먼지, 화장품 등을 주의해야 합니다.
신경쓰이는 눈에 이물감 증상을 예방하는 방법을 알아두세요. 우선 눈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합니다. 모니터 화면을 응시하고 있을 때 눈 깜빡임이 줄어 들기 때문에 의식하여 윙크하는 것이 좋으며, 건조한 실내에서는 가습기를 사용합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눈을 비비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집에 돌아와서는 반드시 손을 씻고 눈병에 걸린 사람과 수건이나 생활용품을 함께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눈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는 깨끗하 수돗물이나 안약으로 눈을 씻어내는 것이 좋습니다. 세면대에 얼굴이 가까이 대고 눈을 깜빡이면 손상없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손으로 문지르면 각막에 상처가 나므로 절대 손으로 문지르면 안 됩니다.
눈에 이물질이 낀것 같고 열감이 느껴진다면 차가운 물수건을 눈꺼풀 위에 올려놓으면 편해집니다. 건조함으로 인한 이물감이 발생한 경우에는 냉찜질과 온찜질을 반복하여 눈 주위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면 나아집니다.
안약이나 인공눈물을 사용하여 이물감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여 증상에 맞는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인공눈물의 경우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쓰고 하루에 5회 정도 점안을 합니다.
며칠이 지나도 눈에 이물감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질환이 숨어있을 수 있어서 안과에서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속눈썹이 거꾸로 자라는 경우에도 내게 맞는 방법으로 치료를 해야 하므로 반드시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눈에 이물질이 낀것 같은 증상이 나타날 정도로 눈을 혹사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시력은 한번 잃으면 되돌리기 어렵기 때문에 미리 눈에 좋은 영양제, 음식을 섭취하는 습관을 만들고 정기적으로 검진받도록 해야 합니다.반응형'건강한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골칼슘 먹는법 부작용 (0) 2021.02.03 변비에 좋은 차 모음 (0) 2021.02.02 유청 단백질이란 뭘까 (0) 2021.01.30 얼굴이 붉어지는 증상 조치 (0) 2021.01.28 오미자청 효능 알기 (0) 2021.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