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자기 어지러울때 있다면건강한생활 2021. 3. 25. 13:07반응형
갑자기 어지러울때 피로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넘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지러운 증상은 두통이나 복통 정도는 아니지만 누구나 경험하는 것으로 생각보다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갑자기 증상이 나타나면 당황할 수도 있는 만큼 어지러울때 의심할 수 있는 질병이나 대처법을 미리 알아둘 수 있었으면 합니다.
여성은 갑자기 어지러울때 빈혈을 떠올리게 되는데요. 빈혈은 영양부족, 과도한 출혈이나 적혈구의 재료 부족, 혈액을 만드는 기능에 문제를 일으키는 질병 또는 적혈구를 파괴하는 질병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증상으로 피로, 어지러움, 권태감 등이 나타납니다.남성보다 여성에게 나타나기 쉬우며 이는 월경이나 출산, 다이어트 등으로 인해 혈액과 철분을 잃어버리기 쉽기 때문입니다. 빈혈로 인해 갑자기 어지러울때는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하나요. 빈혈 예방의 첫 걸음은 균형 잡힌 식생활입니다.
특히 단백질과 철분, 비타민 B12, 엽산은 적혈구와 헤모글로빈의 재료가 되므로 고기, 생선, 콩, 유제품, 해초류, 야채를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철분과 엽산이 부족하기 쉬운 임신, 수유 중에는 더욱 잘 챙겨 드셔야 합니다.
뇌경색으로 인해 갑자기 어지러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뇌경색은 뇌의 혈관이 가늘어 지거나 혈전이 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질환으로 방치하면 생명을 잃을 수 있습니다. 원인이 되는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등을 잘 관리하고 비만, 흡연, 음주 등도 주의해야 합니다.
어지러울때 무조건 뇌경색을 의심할 수는 없습니다. 뇌경색일 경우 지금까지 없었던 심한 두통과 한쪽 팔다리나 얼굴이 저리고 마비되는 느낌이 듭니다. 혀가 제대로 움직이지 않고 말도 잘 나오지 않으며 물건이 겹쳐 보이기도 합니다.
귀에 이상이 생겨서 갑자기 어지러울때도 있습니다. 내이의 림프 부종으로 발생하는 메니에르병을 의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10분 ~ 몇 시간 동안 어지러움과 귀가 막힌 느낌, 이명, 메스꺼움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균형을 감지하여 뇌에 전달하는 신경인 진정신경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염증이 발생하고 어지러울때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감기에 걸린 후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갑자기 빙글빙글 도는 회전성 어지러움이 느껴집니다.
갑자기 소리가 들리지 않고 어지러울때는 돌발성 난청일 수 있습니다. 예고도 없이 발생하는 난청으로 귀가 꽉 찬 느낌이 들고 옆 사람의 목소리가 작게 들립니다. 이명과 구토가 동반되기도 하며 초기에 치료해야 청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자율 신경 실조증으로 인해 갑자기 어지러움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자율신경은 내 의사와 상관없이 24시간 순환기, 소화기, 호흡기의 활동을 조정하고 일을 하는데 스트레스와 과로로 인해 이상이 생기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갑자기 어지러운 것도 그중 하나입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고민, 스트레스를 혼자 해결하기보다 주위 사람들에게 상담하는 등 적극적인 방법으로 해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충분한 수면, 균형 잡힌 식사를 하면서 신체 리듬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앉았다 일어날때 갑자기 눈앞이 깜깜하고 어지러울때 기립성 저혈압일 수 있습니다. 혈압을 조절해주는 자율신경의 문제와 혈액을 펌프하는 하체 근육부족으로 인해 발생하기 쉽습니다. 과도한 다이어트 또한 원인이 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갑자기 눈앞이 핑돌고 어지러울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일단 가장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합니다. 자세에 따라 어지러움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오른쪽 귀에 질병을 가진 사람은 왼쪽 귀를 아래 방향으로 누우면 어지러움이 감소합니다.
빛의 자극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눈앞의 움직이는 것도 보지 않는 것이 좋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 눈을 감고 휴식을 취합니다. 밖에서 걷는 도중에 갑자기 어지러울 경우 그 자리에 웅크려 잠시 기다리고 움직일 수 없는 심한 현기증이라면 도움을 요청합니다.
흔들리는 차 안에서 갑자기 현기증이 나타났을 경우에는 잠시 내려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갑자기 어지러울때면 누구나 불안한 마음이 듭니다. 어지러움이 생명에는 지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일상생활에 영향을 끼치므로 자주 발생하는 것 같다면 일단 병원에서 진찰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반응형'건강한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슬뿌리 먹는법 정리 (0) 2021.03.29 페퍼민트 차의 효능 정보 (0) 2021.03.26 콘드로이친 원료 식품 (0) 2021.03.23 차가버섯 분말 먹는 방법 팁 (0) 2021.03.19 관절에 좋은 약초 종류 (0) 2021.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