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금물 가글 소금 양치 효과와 방법은건강한생활 2023. 10. 17. 11:48반응형
소금을 양치질에 사용할 수 있을까요. 항균 작용이 있어서 과거에는 사용하였지만 지금은 소금 양치를 하는 분들은 거의 없습니다. 날카로운 결정이 오히려 잇몸에 상처를 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 소금물 가글을 하는 분들은 많으며, 소금물 가글로 얻을 수 있는 효과도 좋습니다. 단, 올바르게 가글을 해야 구강건강에 도움받을 수 있습니다.
소금 양치 해도 될까
굵은 소금을 치아 또는 잇몸에 문지르는 분들이 있습니다. 시원하고 개운한 느낌이 들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이는 오히려 치아와 잇몸을 상처낼 수 있습니다. 소금을 묻혀서 직접적으로 치아, 잇몸을 닦기보다는 소금물 가글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금 양치를 하고 싶은 분들이라면 양치용 소금을 따로 구입해서 사용하는 것이 낫습니다. 집에서 쓰는 소금은 입자가 굵어서 오히려 상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죽염 치약, 가글 등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집에서 소금물 가글을 하면 어떤 효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 흔히 감기 예방을 위해 소금물로 입안을 헹구는데 감기 예방 외에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많습니다.
소금물 가글 효과
1. 구취 예방 : 소금은 항균 작용을 가지고 있어서 입안의 세균을 제거하고 입냄새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구취가 심한 분들이라면 양치질, 가글을 꼭 해야 합니다.
2. 충치 예방 : 살균 효과가 있는 소금물은 충치의 원인이 되는 균을 제거하고 충치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완벽하게 예방되는 것은 아니며, 평소 칫솔질과 치실도 꾸준히 사용해야 합니다.
3. 잇몸질환 예방 : 구강 내의 세균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소금물로 헹구는 것으로 잇몸질환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소금물은 구강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인후염을 완화하고 감기를 예방하는 효과도 가지고 있습니다.
4. 인후염 완화 : 살균 작용이 있기 때문에 구강 내의 세균을 제거하고 염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인후염에 걸렸을 때 따뜻한 물에 소금을 녹여서 가글을 하면 가래 완화에 도움은 되는데 완전히 치료되지는 않습니다. 심한 인후염은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5. 감기 예방 : 소금물이 항염, 항균 작용을 하여 감기를 예방하는데 도움 받을 수 있습니다. 일교차가 커지는 시기에는 집에 돌아와 소금가글을 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소금물 가글 농도 중요
소금을 이용해서 가글을 할 경우 농도가 중요합니다. 농도가 너무 짙으면 입안이 따갑고 지나치게 건조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농도가 너무 옅으면 살균 효과가 떨어집니다.
가글 농도는 0.9 ~ 3%까지 가능합니다.- 0.9% : 식염수와 동일한 농도로, 일반적으로 가장 적당한 농도입니다.
- 1% : 0.9% 보다 살균 효과가 약간 더 높은 농도입니다.
- 2% : 1% 보다는 살균 효과가 더 높습니다.
- 3% : 염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농도입니다.
농도는 선택할 수 있으며, 스스로 농도를 맞추는 것이 어렵게 느껴진다면 약국에서 멸균 생리 식염수를 사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식염수 소금 농도는 0.9%입니다.
직접 만들려면 물 반컵에 소금 1/4 티스푼을 넣습니다.가글 횟수 몇번
소금물 가글 횟수는 1일 1~2회가 알맞습니다. 적당히 하면 세균 제거 및 염증 완화에 도움이 되지만 너무 자주 하면 입안이 건조해질 수 있어서 주의하셔야 합니다.
소금물 가글은 만능이 아닙니다. 염증으로 인한 붓기 제거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고, 인후염 완화, 감기 예방에 효과는 있습니다. 하지만 치석이나 치아 통증 원인이 되는 충치를 제거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평소 구강 건강을 유지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아 건강을 위해서는 치약으로 양치질하고, 치실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에 어금니 신경치료를 하면서 느낀 점이 있다면, 구강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한 살이라도 젊었을 때 올바른 구강 관리를 하여 구강 질환을 예방하고 건강한 치아와 잇몸을 유지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반응형'건강한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과 마취 풀리는 시간 식사 언제할까 (0) 2023.11.20 자다가 다리 쥐 종아리 통증 이유는 (0) 2023.10.26 등산후 무릎통증 어떻게 해야 하나요 (0) 2023.10.10 치매 예방에 좋은 음식 7가지 (0) 2023.10.07 사랑니 발치후 커피 마실 수 있나요 (0) 2023.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