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회용 다회용 인공눈물 유통기한 얼마건강한생활 2024. 1. 3. 11:26반응형
눈이 건조하고 불편할 때 인공눈물을 사용합니다. 인공눈물은 1회용과 다회용으로 나눌 수 있으며, 종류에 따라 유통기한이나 사용기한이 달라집니다. 유통기한 지난 인공눈물의 경우 성분이 변질될 수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은데, 인공눈물 유통기한 또는 사용기한에 대해 모르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인공눈물 효과
다양한 이유로 부족해진 눈물을 일시적으로 보충해 안구건조증을 완화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눈물과 비슷한 pH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인공눈물 점안이 필요한 안구건조증 증상으로는 눈의 건조함, 피로감, 충혈감, 이물감, 자극감 등이 있습니다. 날씨가 건조해지면 발생하기 쉬운 증상으로, 그대로 두기보다 인공눈물을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1회용 다회용 인공눈물 유통기한
인공눈물은 1회용과 다회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회용은 한 번 사용하고 버리는 제품이며, 다회용은 개봉 후에도 일정 기간 사용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1회용 인공눈물
1. 한번 개봉하면 그날 사용하고 버린다.
2. 보존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다회용 인공눈물
1. 개봉 후에도 사용기한이 지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있다.
2. 보존제가 포함되어 있다.인공눈물 유통기한 사용기한 알기
사용기한이란 : 제품을 개봉 후 사용할 수 있는 기간입니다. 따라서 사용기한지난 인공눈물은 버려야 합니다.
유통기한이란 : 제품을 제대로 보관하여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유통기한은 제품마다 다른데 일반적으로 1회용은 6개월~1년 정도이며, 다회용은 2~3년 정도입니다. 둘 다 개봉하지 않은 상태의 유통기한입니다.
▶1회용 인공눈물 유통기한 : 개봉 전 6개월~1년
▶1회용 인공눈물 사용기한 : 개봉 후 1일 이내
▶다회용 인공눈물 유통기한 : 개봉 전 2~3년
▶다회용 인공눈물 사용기한 : 개봉 후 1개월 이내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통기한지난 인공눈물, 사용기한 지난 인공눈물은 버려야 합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경우 성분이 변질되어 오히려 눈에 자극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1회용은 개봉 후 바로 사용하고, 남았더라도 재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올바른 인공눈물 사용법
1. 유통기한, 사용기한을 잘 지킵니다.
2. 점안하기 전에 손을 깨끗하게 씻습니다.
3. 처음 1방울은 버립니다.
4. 아래 눈꺼풀을 잡아 당기면서 넣습니다.
5. 한 방울씩 넣습니다.
6. 눈을 감고 1~2분 기다립니다.
점안을 할 때는 인공눈물 입구가 눈에 닿지 않게 해야 합니다. 입구가 닿으면 세균이 눈에 들어가서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외의 주의사항으로 뚜껑을 제대로 잘 닫아서 보관해야 합니다. 그래야 인공눈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는 것도 삼가야 합니다. 함께 사용하면 세균이 옮겨갈 수도 있습니다.인공눈물 점안 횟수
인공눈물 하루에 몇번까지 넣어도 되나요.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1회용 인공눈물의 경우 하루 4~5회 정도 사용하면 적당합니다. 다회용은 하루 3~4번 정도 사용합니다.
개인에 따라 더 자주 점안해야 할 수도 있지만, 너무 자주 점안하면 오히려 눈이 건조해집니다. 눈이 심하게 건조하고 불편하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이 도움 됩니다.
1. 가습기를 사용하여 실내 습도를 높이면, 눈이 건조함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눈 주위를 마사지하여 눈 혈액순환이 좋아지면, 눈 건조함이 개선됩니다. 따뜻한 수건찜질을 저녁마다 하면 더욱 좋습니다.
3. 평소 눈을 자주 깜빡이는 것도 눈의 건조 예방에 도움 됩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볼 때 20~30분마다 눈을 깜빡이고 휴식을 취합니다.
4. 눈 건강에 좋은 음식을 먹습니다. 당근, 블루베리, 브로콜리, 연어, 아보카도, 딸기 등은 눈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소개해드린 눈 건조함을 예방하는 생활습관을 실천하고, 인공눈물의 유통기한 사용기한을 지켜서 올바르게 사용하면 안구건조 증상을 완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반응형'건강한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후 2시간 혈당 정상수치 당뇨기준 얼마 (0) 2024.01.25 위대장내시경 후 식사 커피 언제 먹어요 (0) 2024.01.18 치과 마취 풀리는 시간 식사 언제할까 (0) 2023.11.20 자다가 다리 쥐 종아리 통증 이유는 (0) 2023.10.26 소금물 가글 소금 양치 효과와 방법은 (0) 2023.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