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끝이 저린이유 조치건강한생활 2021. 2. 26. 12:02반응형
손끝이 저린이유를 알아두고 조기에 대처하세요. 손끝이 찌릿찌릿한 저린 증상은 비교적 흔히 나타나는데요. 팔베개를 하거나 무리해서 손을 사용한 것이 이유가 되어 손끝이 저릴 수 있으며 이 경우 금방 사라집니다. 하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증상이 있다면 저린이유로 질병을 의심하고 서둘러 치료받아야 합니다.
남성의 손끝이 저린이유로 의심할 수 있는 질환으로 팔꿈치 터널 증후군이 있습니다. 노화와 팔꿈치의 혹사에 의해 팔꿈치 뼈가 변형되고 팔꿈치 안쪽에 있는 척골 신경이 압박되어 손끝이 저린 것입니다. 주로 50대 이후에 발생하기 쉬운 질환입니다.증상으로는 팔꿈치부터 손목, 손끝까지 통증과 저림이 나타나며, 이를 방치하여 심해지면 손힘이 약해져 세세한 작업을 하는 것도 힘들어집니다. 단추를 채우거나 젓가락질을 하거나 설거지하는 것이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새끼손가락과 약지 손가락 저림이 심합니다.
여성의 손끝이 저린이유로 의심할 수 있는 질환은 손목 터널 증후군입니다. 손목에는 수근관이라는 작은 통로가 있는데 이 수근관이 좁아져서 정중신경이 눌리면 통증과 찌릿 찌릿 손끝이 저린 증상이 나타납니다.
손목 터널 증후군은 수근관 증후군이라고도 하는데 발생하는 원인은 무리한 사용입니다. 반복적으로 손을 사용할 경우에 발생하기 쉬운 질환이라서 평소 컴퓨터 사용이 많은 직장인, 미용사, 요리사, 가정 주부에게 발생하기 쉽습니다.
증상은 팔꿈치 터널 증후군과 비슷해서 헷갈릴 수 있는데 엄지, 검지, 중지 손끝이 저리고 아픕니다. 그리고 진행되면 엄지 손가락의 근육이 마르고 쇠약해집니다. 이로인해 작은 물건을 집거나 단추를 끼우는 것이 어려워집니다.
손끝이 저린이유가 되는 수근관 증후군은 근육의 위축이 진행되면서 통증이나 저림이 완화되는 느낌이 드는데 이에 안심하고 치료를 미루지 않아야 합니다. 빨리 진찰받고 치료해야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이 저린이유가 된다면 우선 보존적 치료를 시작합니다. 약물, 주사, 보조기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초기에는 소염 진통제의 복용, 파스 등으로 완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성화되고 생활에도 지장이 있을 때는 수술적인 치료를 선택해야 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이 악화되어 마비, 근육 위축이 진행되면 수술을 해도 완전히 회복하지 못할 수 있어요. 전문의에게 검사 받고 수술을 권유 받았다면 너무 늦지 않게 최대한 빨리 일정을 잡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법은 없나요. 생활습관이 손목터널 증후군 발생 이유가 되므로 잘못된 습관 고쳐야 합니다. 손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도록 노력을 해야 하며 특히 힘을 많이 주거나 비틀고 꺾는 동작을 장시간 하는 것을 삼가야 합니다.
무리한 손사용이 저린이유가 되므로 중간중간 손을 털거나 마사지하여 휴식하는 것이 좋으며 손목 보호대를 착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저녁에는 따듯한 물에 손을 담그고 10분 동안 주먹을 쥐었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면 좋습니다.
말초신경이 아닌 척추질환이 저린이유가 될 수도 있습니다. 뼈와 뼈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튀어나와서 신경을 누를 경우 저림, 통증 등이 나타납니다. 예를 들면 목디스크로 인해 어깨, 팔, 손끝이 저리고 아플 수 있습니다.
목디스크일 경우 처음에는 목과 어깨에서 통증이 느껴지고 팔, 손끝까지 통증이나 저린 증상이 나타납니다. 팔을 위로 올리면 더 심해지며 손의 쥐는 힘도 약해집니다. 원인 모를 두통과 고개를 돌리기 어려운 것도 목디스크 증상입니다.
당뇨 합병증이 저린이유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고혈당으로 인해 혈액이 질퍽해지고 혈류가 나빠지면 말초 신경이 손상되어 손끝 발끝에 저림이 나타납니다. 당뇨병 환자는 합병증이 발병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뇌졸중을 저린이유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갑자기 손끝이 저리고 입술도 저리고 두통과 어지럼증이 있을 경우 뇌경색이나 뇌출혈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뇌졸중의 경우 몸의 한쪽에서만 증상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혈액순환이 일시적으로 나빠진 것이 손끝이 저린이유가 된다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아침에 일어났을 때 손끝이 심하게 저리거나 저림 외에 근력이 약해지고 세세한 동작이 어려워졌다면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습니다.반응형'건강한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당귀 효능 데커신이란 (0) 2021.03.02 새싹보리분말 먹는법 영양 (0) 2021.03.01 배가 부글부글 끓는 증상 원인 (0) 2021.02.22 딸기 보관방법 꿀팁 (0) 2021.02.19 염증수치가 높으면 조치 (0) 2021.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