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소주 한병 해독시간 운전 몇시간 지나야 할까
    건강한생활 2024. 9. 12. 11:11
    반응형

    명절이나 생일에는 가족, 친구들과 함께 모여 소주 한잔 기울이게 됩니다. 하지만 소주 한병 해독시간이 생각보다 길어서 술자리가 끝난 후 바로 운전대를 잡으면 안 됩니다. 그럼 소주 한병을 마신 후 얼마나 지나야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을까요. 소주 한잔 반병 한명 두병 해독시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주 한병 해독시간을 알기에 앞서 자신의 주량을 아는 것이 중요해요. 자신의 주량을 알아야 과음을 하지 않으며, 숙취로 인한 고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운전해야 할 경우 해독시간을 예측하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습니다.

     

     

    주량의 경우 컨디션이나 음주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때문에 같은 종류의 술을 일정량씩 마시고, 그때마다 느껴지는 숙취나 몸의 반응을 기록해야 자신의 주량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혼자 마시기보다 친구나 가족과 함께 마셔야 안전하게 주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운전은 절대 하지 않아야 합니다.

     

    • 술의 종류와 양을 기록하면서 마시기
    • 몸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마시기
    • 음주량을 조금씩 늘리면서 변화와 반응 관찰하기

     

     

    소주 한병 해독시간 얼마

    일반적인 소주 알코올 도수는 16.5도이며 양은 360ml입니다. 이를 해독하기 위해서는 약 4~6시간 정도가 필요한데 사람마다 해독시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여자가 남자보다 해독시간이 오래 걸리며, 체중이 적게 나가는 사람이 많이 나가는 사람보다 해독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알코올 도수 19% 소주 1병 해독시간
    남자 소주 해독시간

    • 체중 60kg : 약 4시간 47분
    • 체중 70kg : 약 4시간 6분
    • 체중 80kg : 약 3시간 34분
    • 체중 90kg : 약 3시간 9분

     

    여자 소주 해독시간

    • 체중 50kg : 약 7시간 12분
    • 체중 60kg : 약 6시간
    • 체중 70kg : 약 5시간 9분
    • 체중 80kg : 약 4시간 28분

     

    혈중알코올농도를 추정하는 위드마크 공식에 따른 해독시간은 위와 같지만 체질이나 안주, 기분 등에 따라 술 해독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소주 한잔 해독시간 (약 50ml, 도수 19%)

    • 남성 60kg: 약 40분
    • 여성 60kg: 약 1시간

     

    소주 반병 해독시간 (약 180ml, 도수 19%)

    • 남성 60kg: 약 2시간 23분
    • 여성 60kg: 약 3시간

     

    소주 두병 해독시간 (약 720ml, 도수 19%)

    • 남성 60kg: 약 9시간 34분
    • 여성 60kg: 약 12시간

     

    소주 한병마시고 몇시간 뒤에 운전할 수 있나요
    소주 한병을 마실 경우 최소 6~8시간은 수면하고 운전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기준이며, 체질, 체중에 따라 해독시간이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가능한 한 오랜 시간을 기다린 후 운전을 합니다.

     


    밤에 술을 마시고, 자고 일어나면 괜찮겠지라는 생각을 가진 분들도 있는데요. 소주 2병을 마시면 해독시간이 약 9 ~ 11시간이라서 자고 일어나도 여전히 알코올 농도가 높게 나옵니다. 충분한 시간이 지나지 않으면 알코올이 완전히 해독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서는 음주 후 충분한 해독 시간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술을 잘 마시는 사람이라고 해도, 술이 해독되고 체내 알코올 농도가 완전히 낮아지기까지는 일정 시간이 필요합니다. 술이 깬 것 같지만 혈중 알코올 농도는 완전히 낮아지지 않은 상태라서 운전을 하면 음주운전으로 간주되며 법적 처벌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음주를 했을 경우 충분히 휴식을 취한 후 운전을 하거나 대리운전, 택시,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